티스토리 뷰
우리는 문화가 있기 때문에 다시 일어날 것이다.
- 박경리
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소설로 녹여낸 <토지>는
연재 기간이 무려 26년에 달하는 대작입니다.
문학적 표현 하나하나에 감탄을 자아내는
우리나라 최고의 소설이며,
토지를 읽으면 글쓰기 능력도 일취월장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.
여러분도 토지는 꼭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.
#1
집으로 돌아왔을 때 하늘은 옥빛으로 걷혀져가고 있었다.
#2
해가 솟아오르려고 사방이 벌겋게 타올랐을 때,
낮의 열기가 식은 들판에서 썰렁한 바람이 강청댁의 땀 배인 목덜미를 식혀준다.
#3
별당 뜰에는 무료한 한낮이 쭉 늘어져 있었다.
#4
잠자리는 빙그르르 돌아서 계집아이 머리채 주변을 맴돈다.
#5
어느 편에도 기울 수 없는 저울의 추가 되어 살아왔었다.
#6
때늦은 겨울비가 추적추적 내리더니 이내 그쳤다.
#7
봄을 재촉하는 실비였다.
부슬부슬 내리는 빗소리는 새벽에 접어들어 그치고, 안개를 헤치며 마을 모습이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했다.
#8
두만네 발길에 놀라, 여기저기 돋아나 애기여귀풀 사이에 숨어있던 개구리들이 논으로 풍덩풍덩 뛰어들었다.
#9
해가 서편에서 넘어가고 땅거미가 질 무렵
#10
가물가물 젖어드는 것 같은 햇빛, 촉촉한 봄기운이 길상이의 가슴을 간지럽혀주는 것 같았다.
#11
하늘 빛깔도 좋았고 흘러가는 구름도 못 견디게 좋았다.
#12
들판에 싱싱한 푸르름이 가득 들어찬다.
#13
~이란 사실이 가슴을 치고 달아나곤 할 뿐이었다.
#14
하루가 기울면서 바람이 거실거실 일기 시작했다.
#15
느긋한 봄날 같은 평화스러움을 느낀다.
#16
목마른 나무가 물을 빨아올리듯이, 새로운 환경은 병수에게 지혜를 주었고 생각을 풍부하게 해주었다.
#17
눈물 때문에 서희 모습이 물감처럼 번져나간다.
#18
‘여보? 저 산새 우는 소리 안 들리세요?얼마나 즐거우면 저리 명랑하게 지저귈까.
새들도 밤이 싫은 거예요. 아침이 좋아서, 환한 햇빛이 좋아서 저리 지저귀나 봐요.
캄캄한 밤이 싫은 거예요. 나도 저 새들같이 한번 날아보았으면.’
#19
칠월로 접어든 초여름의 저녁 바람이 살랑거린다.
#20
방 안도 캄캄하다. 햇빛을 밟고 왔기 때문이었을까?
#21
가회동의 아침은 느리고 한가롭기만 하다.
뜰 안을 서성대던 춥고 배고픈 참새 서너 마리가 푸르륵 날아올라 오동나무 가지에 앉는다.
#22
거리에는 어느덧 황혼이 깔려 있었다.
#23
노을에 물든 하늘과 땅은 이 세상이 아닌 것처럼 아름다웠다.
#24
쉴새 없이 잎새를 흔드는 버드나무에 물든 노을은 곱기만 하다.
#25
들판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곡식 익는 내음이 실려온다.
#26
그것은 바람 없는 바다처럼 매우 조용했다.
#27
문틈 사이로 빛이 희끄름하게 밝아오고 밖에선 아침의 기척이 들려온다.
#28
생각에서 풀려난 기화 눈에 창밖 풍경이 들어온다.
#29
바람은 부드러웠고 강물엔 봄빛이 어려 있었다.
#30
어느덧 해가 솟아오르고 풀잎의 이슬들이 눈물같이 반짝거린다.
#31
그들의 사랑은 남자에게도 여자에게도 소나기였다.
긴 여름 무더위 속에 잠깐 왔다 가는 짧은 소나기
#32
속박에서 풀려나오는 순간 공허가 밀려온다.
공허 속에 어둠이 스며오고, 밤의 고요함이 아프게 가슴을 훑고 지나간다.
#33
초가을의 찬 기운이 옷깃 사이로 기어든다.
#34
가난하다. 마음이 가난하다.
#35
그동안 과연 세월은 흘렀는가, 흘러갔는가.
#36
조각달이 멋쩍게 하늘 한가운데 걸려 있다.
'비꽃문화 > 비꽃책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회사에서 일 잘하는 방법 / 『왜 일하는가?』, 이나모리 가즈오 (0) | 2022.03.01 |
---|---|
일은 왜 하는 걸까? / 『왜 일하는가?』, 이나모리 가즈오 (0) | 2022.02.27 |
박완서 작가 좋은 글귀 모음 (0) | 2021.07.17 |
<논어> 명언 모음 ② (1) | 2021.02.21 |
<논어> 명언 모음 ① (0) | 2021.02.14 |